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정리

한정사

by 칼리번 2022. 8. 18.
반응형

영어를 가르쳐본 선생님들이라면 다들 한번씩은 들어봤을 질문, 무엇인지 알고계신가요?

"쌤, 부정관사도 관사니까 한정사인데 왜 한정성이 없는거에요?"

"쌤, 관사도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주니까 한정사인거죠?"

같은.. 이상한 질문들 말입니다..

 

이런 질문을 듣게되면 머릿속이 아득해집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설명을 해 주어야 할지 말입니다.

응. 네가 배운 한정사는 한정사가 아니라 한정사의 뜻은 따로 있단다. 라고 말해야 할까요.

 

그래서 오늘은 한정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한정사(determiner)란  명사 앞에 쓰여 한정의 뜻을 나타내는 품사들을 말합니다.

(the, a, which와 같은 관사 수사 의문사 등을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학생들이 많이 혼동하는 것이, determiner의 기능을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attributive function)이나

관사의 definite이 뜻하는 한정성과 혼동한다는 것 입니다. 

*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이란 명사 앞에 위치해서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attributive function)

* that is cute cat - > cute라는 형용사가 cat이라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수식하고 있지요.

 

이와 달리 한정사(determiner)란, 명사를 수식해주는 기능이 아닌,  그 명사(구)가 definite한지, indefinite한지, 혹은 수량이 어떻게 되는지, 누구의 것인지 등을 가리키는, 즉 그 명사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판별해주는 말들 입니다.

이때문에 꼭 한가지의 품사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품사가 한정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이지요.

 

한정사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바로 definite determiner와 indefinite determiner입니다.

(그런데 번역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한정적 한정사와 비한정적 한정사??)

definite determiner   정관사, 지시사, 소유격 
indefinite determiner  부정관사, 수량사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정관사(definite artice) (the)

: definite하다는 것은 화자와 청자 모두가 말하고 있는 어떤 어구가 가리키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알고 있을 때를 말합니다.

 

2. 부정관사 (indefinite artice) (a/an)

: indefinite하다는 것은 화자와 청자 모두가 말하고 있는 어떤 어구가 가리키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알지 못할 때를 말합니다.

 

3. 지시사 (demonstrative) (지시대명사나 지시형용사) (this, that)

: 화자의 위치와 상황을 바탕으로 사물을 가리키는 기능을 갖는 말입니다.

 

4. 소유격 (possessive) (my, your, his, her)

: 해당 명사와의 소유관계를 나타냅니다.

 

5. 수량사(quantifier) (all, both, some, any)

: 명사의 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바로 이런 단어들을 한정사(determiner)라고 하는데요,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영문법을 공부하면서 한정이라는 말이 꽤 나오는데... 한번 보실까요.

 

우선 관사의 정의를 검색해보면 이렇습니다.

"명사 앞에 붙어서 한정 또는 비한정의 뜻을 나타내는 관사" 입니다.

 

이때의 한정은 무엇을 나타내는 걸까요..? determiner 를 정의할 때 사용한 뜻과 같을까요?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을 나타내는 걸까요?

 

관사에서 정관사 부정관사를 나타낼때 쓰는 단어는 definite/indefinite입니다.

여기서의 한정은 대화를 나눌때 화자와 청자가 그 대상에 대해서 알고있느냐 모르고있느냐 입니다.

알고 있으면 정관사, 모르고 있으면 부정관사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문제는 또 있습니다.

한정적 용법 하면 떠오르는 바로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한정적 용법이지요.

그렇다면 여기서의 한정적이란 말은 도대체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정답은 restrictive입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determiner, attributive, defitie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1. attributive

2. determiner

3. restrictive

4. definite

 

과 같이 다양한 개념들에 대해서 "한정사"라고 똑같이 번역을 해놓은 탓에..

개념들끼리 막 섞이고 혼동이 오게 되는 거지요.

혹시 다른 개념에 대해서도 한정사라고 번역해 놓은게 있으면 제보 부탁드립니다.

(이렇게 번역을 이상하게 해높은 문법 용어들이 한정사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너무 많기에..)

 

본 포스팅을 보시고 공부하시는 분들께 감히 조언 하나 하자면 문법공부하실 때 꼭!!! 영문으로 된 문법책으로 같이 비교하면서 공부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적어도 용어나 용어의 정의 때문에 헷갈릴 일은 없거든요. (그리고 혹시라도 나중에 시간이 허락한다면 영문 문법책도 몇 권 추천해보겠습니다.)

 

 

오늘은 한정사에 대해서 설명드려봤는데요.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