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목적격 관계 대명사와 보격 관계대명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의 종류> - 관계대명사도 인칭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격을 가집니다.
선행사 | 주격 | 목적격 | 전치사와 결합 | 소유격 | 보격 |
사람 | Who, that | Who, whom, that | 전치사+whom | Whose | who, which, that |
사물 | Which, that | Which, that | 전치사+who | Whose, | which, that |
1) 목적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일상 회화에서 대개 생략됩니다.
1. The novel [that I read last night] -> the novel I read last night.
내가 어젯밤에 읽은 책
독립절: I read the novel last night.
the novel I read last night was writen by Rachel.
내가 어젯밤에 읽은 책은 레이첼이 썼다.
2. The movie star[ who I like] -> The movie star I like
내가 좋아하는 영화 배우
독립절: I like the movie star.
the movie star who I like is Tom Cruise.
내가 좋아하는 영화 배우는 톰 크루즈이다.
3. The man [who I loved] -> The man I loved
내가 사랑했던 남자
독립절: I loved the man
The man who I loved is Minsoo.
내가 사랑했던 남자는 민수이다.
4. The hat [that he was wearing] -> The hat he was wearing
그가 쓰고있었던 모자
독립절: he was wearingg the hat.
The hat that he was wearing is red.
그가 쓰고 있엇던 모자는 빨간색이다.
위의 4가지 예문은 모두 관계대명사가가 (1)앞서 나온 특정 단어를 가리키고 있으며 (2) 뒤에 형용사절을 이끌고 있습니다.
굵게 표시된 단어들이 어떤 관계사로 변신해서 어떻게 (1)번, (2)번의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집중해보세요!
2) 보격 관계대명사 *보격 관계대명사는 편의상 기능에 따라 보격이라고 이름 붙였을 뿐 우리나라에서 정식으로 가르치는 개념은 아닙니다.
관계대명사가 관계대명사(형용사절)절 안에서 보어 기능을 할 때 보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1. "I am still who I was before," the maid said.
"나는 지금도 예전의 나일 뿐이다,"라고 그 하녀는 말했다.
독립절: I was ~~~ before. 나는 ~~~이었다.
"나는 지금도 예전처럼 ~~~인 나다."인데 직역하면 이상합니다.
2. He has also forgotten who he used to be.
그는 또한 자신이 누구였는지도 잊고 있다.
독립절: he used to be ~~~ 그는 ~~~였다.
그는 또한 자신이 ~~~였던것을 까먹었다.
3. They don’t know who you are at all.
사람들은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르죠.
독립절: you are ~~~. 너는 ~~~이다.
사람들은 너가 ~~~이다 는걸 모른다.
이처럼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관계대명사가 be 동사의 보어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뒤에 보어가 생략된 be동사를 해석하는 것은 한국인에게 쉽지 않습니다.
직역을 할 수가 없어서 의역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1)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소유격 관계 대명사는 앞의 선행사와 소유 관계를 맺고 있을 때 사용됩니다.
1. the first player whose earnings passed the $10 million barrier
소득이 천만 달러의 벽을 넘어선 맨 첫 선수
독립절: the first player's earnings passed the $10 million barrier.
2. football fans whose support for their team borders on idolatry.
자기 팀에게 숭배에 가까운 지지를 보내는 축구 팬들
독립절: football fans' support for their team borders on idolatry.
3. I could be an accountant anywhere, but I'd rather work for a company whose products Itrust.
저는 어떠한 분야에서든 회계사로 일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제가 신뢰하는 제품을 만드는 회사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독립절: I trust a company's products
* Of which (전치사+관계대명사가 소유의 기능을 할 수도 있습니다)
선행사 바로 뒤에 of which가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1. this is the picture of which the price is incredibly high.
(or this is the picrue the price of which is incredibly high.)
독립절: the price of the picture is incredibly high.
이것은 값이 엄청나게 비싼 그림이다.
2. The forests are the lungs of the planet of which we are a part.
삼림은 우리가 사는 행성의 허파와도 같다.
독립절: we are a part of the planet.
이렇게 전치사 of 가 소유의 의미로 쓰일 때 관계대명사 which 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주격관계대명사를 제외한 목적격/보격/소유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영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관계부사 (0) | 2022.09.07 |
---|---|
영문법) 관계대명사(3) - 전치사+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 (0) | 2022.08.30 |
영문법) 관계대명사(1) - 주격관계대명사 (0) | 2022.08.28 |
한정사 (0) | 2022.08.18 |
명사의 종류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