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정리19

영문법) 관계부사 관계부사도 관계대명사와 구조가 비슷합니다. 앞에 나와있는 선행사를 대신하는 동시에 뒤에 형용사절을 이끄는 (대)부사를 관계부사라고 합니다. 1. this is the house. + i was born in the house. -> this is the house + i was born there. -> this is the hosue + i was boinr where. -> (어순조정) this is the house where i was born. 이 집은 내가 태어난 집이다. 물론 이를 관계 대명사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this is the house + i was born in which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was born. 처럼 전치사+관계대명사로 표현할 수.. 2022. 9. 7.
영문법) 관계대명사(3) - 전치사+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 오늘은 전치사+관계대명사와 관계대명사 what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예문: He is just a guy who I work with. 그냥 나랑 같이 일하는 남자야. He is just a guy with whom I work with. (격식체) 위의 예문처럼 전치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단, 이때는 that 이나 who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의 네가지 예문 모두 맞는 문장입니다. 1. He is just a guy with whom I work. 2. He is just a guy whom I work with. 3. He is just a guy who I work with. 4. He is just a guy I work with. 몇가지 예를 더 들어보겠습니다. 1.. 2022. 8. 30.
영문법) 관계대명사(2)-목적격관계대명사/소유격관계대명사/보격관계대명사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목적격 관계 대명사와 보격 관계대명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관계대명사도 인칭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격을 가집니다. 선행사 주격 목적격 전치사와 결합 소유격 보격 사람 Who, that Who, whom, that 전치사+whom Whose who, which, that 사물 Which, that Which, that 전치사+who Whose, which, that 1) 목적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일상 회화에서 대개 생략됩니다. 1. The novel [that I read last night] -> the novel I read last night. 내가 어젯밤에 읽은 책 독립절: I read the novel last night. the novel I read la.. 2022. 8. 28.
영문법) 관계대명사(1) - 주격관계대명사 오늘은 괸계대명사의 개념과 그 중에서도 주격관계대명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형용사절 - 구 및 절도 형용사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The shoes that I bought yesterday -> The shoes that I bought yesterday are pretty. 위의 문장에서 [that I bought yesterday (주어I 동사 bought)]는 형용사절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2개 이상의 단어가 하나의 집합을 이루어 하나의 명사를 수식할 때, 주어-서술어 관계가 없으면 형용사구, 주어-서술어 관계가 있으면 형용사절이라고 합니다. 2) 관계대명사 - 관계 대명사의 본질은 '대명사'입니다. tha man [that I loved in the past] is handsome. 여기.. 2022. 8. 28.
한정사 영어를 가르쳐본 선생님들이라면 다들 한번씩은 들어봤을 질문, 무엇인지 알고계신가요? "쌤, 부정관사도 관사니까 한정사인데 왜 한정성이 없는거에요?" "쌤, 관사도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주니까 한정사인거죠?" 같은.. 이상한 질문들 말입니다.. 이런 질문을 듣게되면 머릿속이 아득해집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설명을 해 주어야 할지 말입니다. 응. 네가 배운 한정사는 한정사가 아니라 한정사의 뜻은 따로 있단다. 라고 말해야 할까요. 그래서 오늘은 한정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한정사(determiner)란 명사 앞에 쓰여 한정의 뜻을 나타내는 품사들을 말합니다. (the, a, which와 같은 관사 수사 의문사 등을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학생들이 많이 혼동하는 것이, determiner의 기능을 형.. 2022. 8. 18.
명사의 종류 우선 명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명사를 이야기 할 때에 다음과 같이 구분을 합니다. 1. 고유명사 (proper nouns) :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유니크한 것들을 이야기 합니다(대문자로 시작합니다.) 2. 추상명사 (abstract nouns) : 개념이나 생각처럼 물리적으로 만질 수 없는 것들을 이야기 합니다. 3. 물질명사 (material nouns) : 물건의 재료가 될 수 있는 물질을 이야기 합니다. 4. 보통명사 (common nouns) :고유 명사가 아닌 일반적인 것들을 이야기합니다. 5. 집합명사 (collective nouns) : 사람과 동물, 물건과 같은 객체의 집합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1,2,3번은 비가산명사이고. 4,5번이 가산명사라고 배웁.. 2022.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