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정법 과거의 종류 - 현실적 가정법과 상상적 가정법
가정법 과거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현실적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나 사실 여부를 모르는 상황에 대해 가정하는 것이고(현실적 가정법), 다른 하나는 현재의 반대 사실이나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은 상황을 가정하는 것입니다.(상상적 가정법, 이때는 'if'나 'I wish'와 같은 표현과 함께 과거형 동사가 사용됩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도 통상 시 제로 쓰인(indicative) 현실적 가정법 과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현실적 가정법 과거
* if + 동사의 과거시제(indicative), + 결론절 (결론절의 형태는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실적 가정법 과거는 "If" 접속사와 과거형 동사를 사용합니다. 이때 쓰이는 과거형 동사는 동사의 특이적 형태인 backshift가 아니라 동사의 통상시제인 indicative입니다. 그리고 "If" 절 다음에는 가정의 결론을 제시하는데, 이때 결론절에 사용될 수 있는 동사 혹은 조동사의 형태는 전달하려는 의미에 따라 매우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흔히 가정법을 배울 때 조건절과 결론절을 세트로 묶어 두고 이것을 가정법이라고 가르치는 문법서가 많은데요. 원래 가정법은 if 조건절에 만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세트로 가르치는 이유는 그러한 시제로 쓰인 패턴이 일반적이기 때문이지, 다른 시제로 사용되었다고 무조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의미가 통한다면 얼마든지 세트 외의 다른 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정법 혼합이라는 문법적 개념을 억지로 만들어낸 이유이기도 합니다.
3. 현실적 가정법 과거의 예시
*아래의 모든 예시들은 과거의 사실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황을 가정하거나, 혹은 실제로 발생했거나,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사건에 대해 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 가정법 과거에 해당됩니다. 즉, Backshift를 써서 if 절에 과거시제를 사용한 것과는 매우 다른 상황이며, 전달하는 뉘앙스도 매우 다릅니다. 현재 사실과 다르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을 가정하는 상상적 가정법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
예시 1: "If you were at the concert yesterday, you must have seen the surprise performance."
(어제 콘서트에 갔던 거라면, 분명 엄청난 공연을 봤겠네요.)
어제 콘서트에 있었던 상황을 가정하고 있습니다.(이 때는 문맥상 실제로 어제 콘서트에 갔는지 안 갔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거나, 실제로 콘서트에 간 상황을 가정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 가정이 사실이라면, 즉, 당신이 실제로 어제 콘서트에 참석했다면, 놀랄 만한 특별 공연을 봤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예시 2: "If you lived in France in the 90s, you might have experienced the World Cup victory in 1998."
(만약 당신이 90년대 프랑스에서 살았다면, 아마 1998년의 월드컵이 개최되었을 때 우승을 직접 경험했을 겁니다.)
이 문장은 90년대에 프랑스에 살았던 사람이(이때 청자가 실제로 90년대에 태어났는지 아닌지는 확실히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1998년 월드컵 우승의 기쁨을 경험했을 가능성을 언급합니다.
예시 3: "If you graduated from college in 2010, you have probably worked for at least 10 years by now."
(만약 당신이 2010년도에 대학을 졸업했다면, 적어도 지금까지 적어도 10년을 일했을 겁니다.)
청자가 2010년에 대학을 졸업했다면(이때 청자가 실제로 2010년에 졸업했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적어도 10년 동안 일했을 것이라는 현실적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예시 4: "If you visited Rome last summer, you must have seen the Colosseum."
(당신이 지난여름에 로마에 갔다면(간거라면), 분명 콜로세움을 봤겠네요.)
지난 여름에 로마를 방문했다면 콜로세움을 보았을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가정을 나타냅니다.
예시 5: "If you were born into a financially poor household, you might have had a hard time up until now."
(만약 당신이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났다면, 아마 지금까지 힘든 시기를 겪었겠지요."
예시 6. "If you were born in the 90s in Korean, you are likely to not married yet."
(만약 당신이 한국에서 90년대에 태어났다면, 당신은 아직 결혼하지 않았을 확률이 크다."
예시 7: "If you gave birth in 2023, you might consider having another child, given the good support system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se days."
( 만약 당신이 2023년에 아이를 낳았다면, 요즘 정부가 제공하는 좋은 지원 시스템을 고려해 볼 때, 둘째를 가지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4. 결론
가정법 과거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사용하려면 주어와 동사의 형태에 주의하고 문장의 전반적인 문맥을 이해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전 포스팅 가정법 개요에서도 언급했었지만, 특히 가정법 과거의 경우 그 의미가 현실적일 수도, 비현실적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맥락과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따른 시제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그 의미나 뉘앙스가 정 반대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상상적 가정법 과거가 현실적 가정법 과거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예시문은 제 다른 블로그를 참고해 주세요.
현실적 가정법 과거(1): 과거의 현실적 가능성 - englistic
가정법 과거란 과거의 현실적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대한 가정이나 과거의 어떤 상황에 대해 사실 여부를 모르는 상황에 대한 가정을 말합니다.
englistic.co.kr
'영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영어표현(1) (0) | 2023.07.16 |
---|---|
영어 표현(1) - now that, at this rate, to drop from exhaustion 등 (0) | 2023.07.12 |
영문법) 가정법 개요(1) (0) | 2023.06.30 |
문장요소, 어순에 관한 이야기(feat, 이중타동사, 복합타동사) (0) | 2023.03.21 |
어순 및 문장구조에 대한 이야기 (feat. 자동사, 연결동사, 타동사)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