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정리

영문법) 가정법 개요(1)

by 칼리번 2023. 6. 30.
반응형

1. 가정법 문장(conditional sentences)을 만들 때 쓰이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

1. subjunctive mood: 동사의 특이형태

비현실적인 상황이나 가능성이 낮은 상황(동사의 과거형), 또는 명령, 요구, 제안 등을 표현할 때(동사의 현재형)(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다른 개념이니 잠시 넘어가도록 한다) 사용한다. 

 

ex)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 around the world."

내가 부자라면(부자가 된다면), 세계일주를 할 거야.

- 원래대로라면 인칭대명사 I의 짝꿍 be동사는 was인데, were가 위치하는 동사의 특이형태를 보인다. 

 

2. backshift: 시제를 과거로 한 단계 당기는 것.

 

주어진 상황이나 문장이 현재의 사실이 아니라 과거나 비현실적인 상황을 가정하는 경우에 쓰인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재나 미래 시제로 표현되는 사실을 과거 시제로 바꾸어 표현 거나, 과거로 표현되는 사실을 과거 완료시제로 바꾸어 표현하게 된다. 

 

ex)  "I am a teacher." -> "If I were a teacher, "

내가 선생님이라면 (선생님이 된다면),

- be동사의 과거시제 "were"이 쓰여서 과거에 대한 표현 같이 보이나 사실 현재에 대한 표현이다.

 

2. 가정법 문장(conditional sentences)을 만들 때 쓰이는 두 가지 중요한 구분

1. 현실적 가정법(real conditional)

사실이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표현한다. 

 

ex) If you heat ice, it melts. 

ex) If you are feeling unwell, you should see a doctor. (

ex) If it rains tomorrow, I will stay at home. 

 

얼음을 가열하면 녹는다,  현실적 조언, 실제적인 가능성에 기반을 둔 상황 등의 예문을 생각해 보면 좋겠다.

 

2. 상상적 가정법 (unreal conditional)

가상적, 상상된, 또는 비현실적인 상황을 설명한다. 종종 사실과 반대되는 조건을 표현하며, 이런 비현실적인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논한다.

 

ex) If I were a bird, I would fly around the world.

ex) If I won the lottery, I would buy a mansion.

ex) If I had studied harder, I could have passed the exam.

 

내가 새라면 세계를 돌며 날아다닐 거야, 복권에 당첨되면 맨션을 살 거야, 내가 그때 공부만 열심히 했더라면 시험 통과했을 거야 등 과거사실에 대한 반사실적 가정이라던지, 비현실적인 상상적 가정이 있다. 

 

* 가정법에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다른 블로그에 해놨다. 참고하면 좋겠다.

 

 

 

3. 혼란을 야기하는 부분

여기서 내가 가장 헷갈렸던 부분은, 상상적 가정법에는 backshift가 쓰인다는 것은 이해가 쉽게 갔는데, 그럼 이걸 통상적으로 쓰인 과거형 문장이랑 어떻게 구분하냐 이런 흐름이었던 것 같다. if 절에 과거 동사가 쓰였을 때, 이게 현실적 가정법이냐, 아니면 상상적 가정법이냐를 구분하는 문제말이다. if절과 main절 모두를 읽으면 구분이 갔는데, if절만 따로 떼어놓고 알 수 있느냐가 궁금했다.  (if 절에 동사의 과거형이 쓰였을 경우, 이는 상상적 가정법, 현실적 가정법 둘 다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내가 내린 결론은 "main절(결과절)에 있는 동사의 형태"까지 함께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ex) "If he studied, he would pass the test."

그가 공부를 열심히 한다면, 그는 테스트를 통과할 거다.

 

주절의 동사가 조동사(would, could, might)를 포함한 경우, 그 문장은 상상적 가정법일 가능성이 높았다. 애초에 조동사가 "추측"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ex) "If he studied, he passed the test."

그가 공부를 하면, 시험을 통과했다.

 

반면에 주절의 동사가 단순 과거형인 경우, 그 문장은 과거를 나타내는 실제적 조건일 가능성이 높았다.

 

근데 여기서 또 문제가 생기는데, 그럼  "If he studied, he would pass the test." 이 문장에서 의미하는 게 정확히 무엇이냐는 것이다. 상상적 가정법은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과 아예 반사실적 가능성을 포함하는데, 이 둘은 또 어떻게 구분하냐는 것이다. 해당 문장 자체는 그 사람이 현재 공부하고 있지 않거나, 적어도 시험에 합격할 만큼 충분히 공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왜냐하면 실제로 그들이 공부하고 있다면, 말하는 사람은 상상적 가정법이 아니라 현실적 가정법을 썼을 거다.) 고민을 많이 해봤지만 추가적인 맥락 없이 "그가 지금 공부하고 있지 않다"인지 "그가 공부할 것 같지 않다"인지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결국 맥락 또한 문장이 실제적 조건을 사용하는지, 아니면 가상적 조건을 사용하는지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포인트다. 따라서 전체 메시지나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이 주목표가 되어야 한다.

 

 

결론: 어디서 문장하나 뜯어와 놓고 자세한 해석 및 분석을 하기는 무리가 있다.

 

반응형

댓글